반응형
양곡법의 목적은 국민의 식량 안보를 확보하고, 농업인의 소득 안정과 국가 식량 수급의 균형을 도모하는 데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반대 의견도 많습니다. 최근 대선 공약으로 양곡법 개정안이 재등장 하기도 했는데요.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양곡법의 주요 내용
- 양곡의 수급 안정
- 정부는 쌀을 중심으로 한 양곡의 수급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할 경우 비축하거나 시장에 공급합니다.
- 수급 불균형 시, 정부가 시장 개입(예: 수매 또는 방출)을 할 수 있습니다.
- 정부양곡 비축
- 재해, 수급 불안 등 비상 상황을 대비해 정부는 일정량의 양곡을 비축합니다.
- 농가 지원
- 쌀값이 급락할 경우, 농민 보호 차원에서 정부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쌀을 수매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 양곡의 품질관리
- 수확 후 보관, 가공, 유통 과정에서 품질을 관리하는 규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쟁점: 양곡관리법 개정안
- 강제 수매 조항 도입 여부
- 일정 기준 이상으로 쌀값이 떨어지면, 정부가 의무적으로 초과 생산량을 매입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 개정안이 발의되었습니다.
- 찬성 측: 농민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
- 반대 측: 과잉 생산을 유도하고, 시장 원리에 어긋난다.
- 2023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해당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재의요구권 을 행사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양곡법(개정안)의 단점과 반대 이유
- 최근 3년간 쌀 과잉 생산으로 정부가 사들인 쌀을 사료용으로 헐값에 팔아 1조 원 넘는 손실 발생.
- 예: 1kg당 2677원에 매입한 쌀을 349원에 판매.
- 재고 쌀 계속 쌓이고, 품질 저하로 소비 어려움.
- 그럼에도 이재명 후보는 양곡법 개정안 재추진, 정부 의무매입 확대 공약.
- 재정 낭비 우려와 시장 왜곡 논란이 커지는 상황.
1. 시장 왜곡 가능성
- 정부가 의무적으로 초과 생산된 쌀을 매입하게 되면,
→ 농민들이 수요와 상관없이 무리하게 쌀을 많이 생산할 유인이 생깁니다.
→ 이로 인해 공급 과잉 → 쌀값 불안정 → 정부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막대한 예산 소요
- 정부가 초과 생산분을 매입하게 되면 매년 수천억 원의 세금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수매한 쌀은 소비되지 못하고 폐기되거나 방치될 우려도 있습니다.
- 실제로는 창고에 쌓이거나 가축사료 등으로 전용되기도 함.
3. 작물 다양화 저해
- 쌀 가격이 보장되면 농민들이 쌀 위주로만 농사를 짓고, 다른 곡물이나 과일, 채소로의 작목 전환이 어려워집니다.
- 결국 농업 전체의 구조 개선과 경쟁력 향상을 방해할 수 있음.
4. 소비 감소 추세와 불일치
- 한국은 쌀 소비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사회입니다.
-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계속 줄고 있음.
- 이런 상황에서 쌀을 더 많이 생산하고 정부가 이를 사들이면 낭비만 커질 수 있음.
5. 근본적인 수급 조절 대책 부족
- 수요에 맞춘 생산 구조 개편, 고부가가치 작물 전환, 유통 혁신 등 근본적인 해결책 없이 단기 수매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지적이 많습니다.(양곡법 개정안)
- 입장 주장 내용
👍 찬성 농민 보호, 쌀값 안정, 식량 자급률 유지 필요 👎 반대 시장 왜곡, 세금 낭비, 과잉생산 조장 우려
요약
- 양곡법은 쌀과 같은 주요 곡물의 안정적 수급과 식량 안보를 위한 법입니다.
- 정부 비축과 수급 조절, 농가 보호가 핵심 목적입니다.
- 최근에는 쌀의 의무 매입 조항을 둘러싸고 정치적 논쟁이 있었습니다.
반응형
'복지 & 경제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니어(노인) 일자리 정책: 지원금 및 신청 방법 (2025년 ) (17) | 2025.05.24 |
---|---|
‘중국의 아마존’ 징둥 닷컴, 한국 상륙 12시간내 배송? (21) | 2025.05.22 |
상속세 개편 2028년 유산취득세로 전환 예정 (11) | 2025.05.20 |
소득 있는 경우 국민연금 조기 수령 조건 및 나이 신청 방법 (20) | 2025.05.17 |
경남동행론 출시 예정-경남 도민을 위한 서민금융진흥원의 맞춤상품 (15)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