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잘못 버리면 과태료? 음식물·재활용 쓰레기 분리배출 구분 방법

by info1424 2025. 6. 19.
반응형

음식물·재활용 쓰레기를 제대로 버리는 게 환경을 살리는 첫걸음 이고  쓰레기를 잘못 버리면 과태료가 부과 됩니다. 헷갈리는 분리배출, 오늘 딱 한 번만 정리해보세요!
 

재활용 쓰레기 분리배출

 

 재활용 쓰레기 과태료 

일반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버린 경우 10만 원 이하 음식물 처리장 오염 유발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로 버린 경우 10만 원 이하 혼합 배출로 처리 불가
재활용품(플라스틱, 종이 등)을 일반쓰레기 봉투에 버릴 경우 10만 원 이하 분리배출 의무 위반
비닐, 플라스틱 등에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묻은 상태로 배출 10만 원 이하 오염 재활용품 처리 불가
대형 폐가전 등을 무단 투기 100만 원 이하 배출 신고 없이 무단 투기 시
종량제 봉투 미사용 또는 무단 투기 10만 ~ 100만 원 이하 지역·횟수에 따라 상이
상습적 무단 투기 최대 100만 원 + 형사처벌 가능 CCTV 단속 대상

 

🧴 1. 플라스틱류

배출 방법

  • 이물질 제거: 내용물 깨끗이 비우고 헹구기.
  • 부착된 라벨 제거: 가능하면 제거.
  • 종류별 구분: 페트병, 일반 플라스틱 용기 등 구분해서 버리기.
  • 페트병: 라벨 제거 → 찌그러뜨리기(공간 절약) → 뚜껑 닫기.
  • 검은색 플라스틱은 자동 분류가 어려워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는 것이 좋음.

플라스틱.유리 재활용 분리배출

 

🥫 2. 캔류

배출 방법

  • 내용물 완전히 비우고 물로 헹구기.
  • 부탄가스, 살충제 캔은 구멍 뚫지 말고 따로 배출(위험).
  • 캔 뚜껑은 따로 모아 금속류로 배출.
  • 녹슨 캔은 일반 쓰레기로.

 

🍶 3. 유리병

배출 방법

  • 내용물 비우고 물로 헹구기.
  • 병뚜껑(금속/플라스틱)은 분리해서 배출.
  • 깨진 유리는 재활용 안 됨 → 신문지에 싸서 일반 쓰레기로 배출.
  • 약병, 화장품 병도 내용물 없고 재질 분리 가능 시 재활용 가능.

 

종이류 분류배출

 

📦 4. 종이류

배출 방법

  • 테이프, 스티커, 철핀 제거.
  • 종이는 젖지 않도록 보관 후 배출.
  • 영수증은 열감지지 →  일반 쓰레기.
  • 택배 상자는  테이프 제거 후 접어서 배출.

 

🧃 5. 종이팩 

배출 방법

  • 내용물 비우고 물로 헹구기.
  • 일반 종이와 별도 배출 
  • 일반 종이와 섞이면 재활용 불가.
  • 동사무소 등에서는 모은 종이팩을 화장지로 교환해주는 곳도 있음.

 

♻️ 6. 스티로폼

배출 방법

  • 이물질 제거(기름, 음식물 등).
  • 완충재, 칼라 스티로폼은 일반 쓰레기일 수 있음 → 확인 후 분리
  • 라면 용기, 컵밥 용기 등은 스티로폼처럼 보여도 플라스틱일 수 있음. 재질표시 확인(PP, PS 등) 필수.

 

기타재활용품 배출

 

📱 7. 폐가전 & 건전지

배출 방법

  • 대형 폐가전: 지자체 수거 서비스 신청 (무료 수거 가능)→ 예약 바로가기
  • 건전지: 구청, 동사무소, 마트 등 수거함 
  • 충전식 건전지(리튬이온 등)는 별도 배출 → 수은 포함 제품은 특히 주의.
  • 휴대폰, 노트북, 전기면도기 등도 소형 폐가전 수거함 활용 가능.

 

🗑️ 재활용 안 되는 것들

  • 기름 묻은 피자박스
  • 종이컵(코팅되어 있어 일반 종이와 다름)
  • 유색 비닐(흰 비닐만 가능 지역도 있음)
  • 일회용 나무젓가락
  • 플라스틱 빨대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분류

 

🍎 음식물 쓰레기 배출 방법 

 배출 방법

  1. 물기 제거: 음식물 쓰레기는 물기 제거가 핵심! (무게 줄여 비용 절감)
  2. 이물질 분리: 젓가락, 비닐, 이쑤시개 등 비닐류·이물질 제거
  3. 지자체 규정에 맞춰 전용 봉투에 배출하거나 전용 수거함 사용

 

음식물 쓰레기 아님 주의

닭·돼지 뼈, 생선가시, 조개껍데기 단단해서 사료/퇴비화 불가
복숭아·감씨, 옥수수대, 파인애플 껍질 부패 어려움
차잎, 한약 찌꺼기 섬유질 많아 사료화 어려움
기름, 국물, 물기 많은 음식 처리 어려움, 악취 유발
 

마무리

음식물·재활용 쓰레기 분리배출 조금만 신경 쓰면 과태료도 피하고, 환경도 지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